주식 기본적 분석의 시작 자산과 빚
기업은 Financial statement라는 문서를 통해 가지고 있는 돈과 벌은 돈을 보여준다.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돈을 버는것입니다. 돈을 버는 데는 장비, 부동산, 건물, 사람과 같은 수단이 필요합니다. 심지어는 돈 그 자체가 수단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비용이 필요합니다. 비용은 내가 가진돈이 사용되고 부족하면 대출과 같은 수단을 통해 빌릴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마련된 돈으로 필요한 수단을 모아 사업을 합니다. 사업이 잘 된다면 돈을 벌게 되고 사업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거나 새로운 사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혹은 나의 사업에 투자를 해준 사람들에게 수익을 나누어 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돈과 벌어들이고 있는 돈을 파악해야 사업확장이 가능한, 돈을 더 빌려야 하는지, 투자자들에게 얼마나 나누어 줄 수 있는지 결정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런 파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정리한 문서가 Financial statement입니다.
Assets는 Liabilities와 Shareholders Equity의 합계이다.
Financial Statement를 구성하는 문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 Blance Sheet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것의 현황을 보여줍니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것을 Assets 이라고 합니다. Assets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현금이 될 수도 있고 기업이 가진 장비나 공장 같은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Assets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한데 이것이 Liabilities와 Shareholders Equity입니다. Liabilities와 Shareholders Equity의 차이점은 돈의 조달 방법입니다. 대출을 받았다면 Liabilities이고 주식을 발행했다면 Equity입니다.
Assets의 존재 이유는 이익에 대한 기대감이다.
Assets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입니다. 보유함으로써 새로운 이익을 만들어 내야 의미가 있습니다. Assets은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Current Assets은 1년 안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것입니다. 현금, 예금, 앞으로 받을 돈, 상품재고가 여기에 속할수 있습니다. 앞으로 받을 돈과 상품재고는 일정기간마다 아직도 현금으로 바꿀수 있는지를 재평가하는데 여기서 현금으로 회수 불가능한 것으로 검토되면 Assets에서 삭제되고 기업 입장에서는 손해가 됩니다. 그래서 언제나 제일 중요한 것은 당장 손에 있는 현금입니다.
Fixed Assets 에는 공장, 건물, 장비와 같은 것이 포함되고, 기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에 대한 가치 감소에 대한 수치를 반영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만약에 이 자산이 급격이 증가하였다면 기업에서 기존 사업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사업을 진행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자산의 증가 이후에는 매출 증가로 이어지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Liabilities는 갚아야 하는 기간이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다.
Liabilities는 빚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운영이나 확장에 있어 기업이 벌어들인 돈만 사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큰돈이 필요한 때가 있을 수도 있고, 정기적으로 나가는 돈을 조금 더 큰 이익을 위해 다른 곳에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기업은 필요한 돈을 짧게 혹은 길게 빌립니다. 여기서 갚아야 하는 기간의 길고 짧음은 주로 1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중요한 것은 1년 내에 갚아야 하는 돈이 회사가 당장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넘어가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넘어가게 된다면 회사가 아무리 Assets이 많아도 파산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Shareholders Equity는 플러스가 좋다.
만약에 기업이 이제 사업을 그만하고 청산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청산을 하면 기업이 가지고 있는 현금이나 부동산, 장비 등을 팔아서 생긴 현금이 마련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현금으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빚을 갚습니다. 빚을 갚은 이후에도 남는 돈은 어떻게 할까요? 회사에 투자했던 주주들 (Shareholders) 에게 가지고 있는 주식수만큼의 비율로 분배됩니다. 이렇게 분배될 수 있는 돈의 총액이 Shareholders Equity입니다. 이 항목의 값은 항상 플러스여야 합니다. 주주가 손해를 보면 안 되니까 말이죠.
구성하는 항목들로는 Retained Earnings와 Treasury Shares가 있습니다. Retained Earnings는 회사가 벌어들인 수익 (Net Earning)에서 배당으로 나간 돈을 빼고 남은 돈인데 이 부분은 기업에 재투자되어 사업 확장에 쓰이거나 주주들에게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을 통해 분배가 될 수 있도록 저축되고 있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Treasury Shares 기업이 이전에 발행해서 시장에서 유통 중인 주식을 되사들인 자사주 매입량을 말합니다. 투자자를 위해서는 회사의 재무상태만 건전하다면 증가 추세인 것이 좋습니다. 주식시장의 유통주식수가 줄어들어 수요와 공급 원리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ROE는 투자금에 대한 이자율
Return on Equity, 기업의 순수익 (Net Income)을 Shareholders Equity로 나누어준 것입니다. 의미는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냐는 것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ROE는 지속적으로 큰 수치를 나타낼수록 좋습니다.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만큼 자본은 증가하고 누적된 자본은 사업 확장 등과 같은 수익성 증가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에는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수익과 자본이 커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당연히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투자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본적 분석의 시작 현금흐름 (0) | 2021.10.05 |
---|---|
ROA VS ROE 비교해보자 (0) | 2021.09.28 |
배당투자 할때 주의사항 (0) | 2021.09.11 |
성장주 투자를 위한 종목 찾는법 (0) | 2021.08.08 |
주식분석 빚 갚고 투자까지 하는 기업정보 확인하는법 (0) | 2021.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