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아이디어

가치투자 손익계산서 보는법 (Net sales 부터 Gross Margin 까지)

by D12 2021. 7. 16.
반응형

가치투자 손익계산서 보는 법 (Net sales부터 Gross Margin까지)

손익계산서에서는 회사가 버는 것과 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식에 투자를 하면서 기업에 대한 확신은 어느 정도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하락장에서 멘털을 지킬 수 있지요. 기업에 대한 확신이 있으려면 이 회사의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믿는 마음을 바쳐주는'무언가'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가 '이 회사가 돈을 잘 버는가' 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알려주는것이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입니다. 손익계산서에는 이름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기업이 돈을 얼마나 썼는지도 보여줍니다.

 

여러가지 성격의 이익과 비용이 있다.

손익계산서는 여러가지 이익과 비용에 대한 항목이 기재되어있습니다. 각 항목에 따라서 의미하는바도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출 (Sales)부터 매출총이익 (Gross Profit)까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Net Sales는 할인, 반품액을 모두 제외한 순수한 매출

손익계산서의 맨 위에는 Gross Sales 가 원래는 기재되어야 합니다. Gross Sales 는 제품이나 서비스 1개의 가격 곱하기 판매량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Sales Returns, Allowance, Discount를 뺀 것이 Net Sales입니다. Sales Returns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고 일정 시간 내에 반품하여 전액 환불받은 금액을 말합니다. Allowance는 부분 환불입니다. 주로 배송 혹은 상품을 보관하는 중에 생긴 작은 결함이 원인입니다. Discount는 기업이 상품을 판매할 때 할인해준 금액입니다. 

 

Gross Sales와 Net Sales의 차이가 크다면 해당 기업은 할인을 많이 해주거나 환불이 많은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 혹은 인기도를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Gross Margin 이 보여주는 것은 기업의 효율

Net Sales에서 Cost of Sales를 빼주면 Gross Margin입니다. Cost of Sales 는 제품 1개당 들어가는 비용 곱하기 판매량입니다. 이 비용에는 제품에 직접적으로 필요한것만 포함이 되는데, 1개당 들어가는 재료비, 1개당 들어가는 인건비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주로 제조업에서는 이 비용이 중요합니다. 이 비용은 쉽게 변경하기는 어렵습니다. 재료비 혹은 인건비가 오르고 내리거나 할 수는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것일 뿐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거나 낭비의 요인이 없어지거나 해야합니다. 그만큼 기업이 운영하는 비즈니스의 고유의 성격과도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효율을 보여주는것이 Gross Margin 입니다. 

반응형

댓글